고다 로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다 로한은 일본의 소설가, 미래학자, 평론가로, 1867년 도쿄에서 태어나 1947년에 사망했다. 그는 오자키 고요와 함께 '홍로 시대'를 이끌며 일본 근대 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소설 《오층탑》, 《수염 남자》 등을 발표했다. 또한, 미래학적 면모를 보여주는 《해학 손으로 쓴 미래 일기》를 저술하고, 바둑, 장기, 낚시 등 다양한 취미를 가졌다. 그의 작품은 한국에서도 번역 출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다가 - 고다 아야
일본 소설가이자 수필가인 고다 아야는 고다 로한의 딸로 여성의 삶과 가족, 전통 문화에 대한 섬세한 묘사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 작품으로는 《흐르다》, 《검은 자락》, 《미소카스》 등이 있다. - 일본 예술원 회원 - 카가 오토히코
가가 오토히코는 일본의 소설가이자 정신과 의사로, 도쿄대학교 의학부에서 정신의학과 범죄학을 전공하고 등단 후 활발한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사형폐지론을 주장하며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일본예술원 회원 및 문화공로자로 선정되었다. - 일본 예술원 회원 - 이소자키 아라타
이소자키 아라타는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선구자로, 히로시마 원폭 경험을 바탕으로 전통과 현대의 융합을 추구하며 사회적 담론을 이끌었고, 국제적인 프로젝트와 건축계에 큰 영향을 미쳐 2019년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일본의 건축가이다. - 일본의 문학 평론가 - 오선화
오선화는 대한민국 출신으로 일본으로 귀화한 평론가이자 작가, 대학교수로, 호스티스 경험을 바탕으로 작가 데뷔 후 한일 관계와 한국 사회, 문화에 대한 비판적인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했다. - 일본의 문학 평론가 - 이시카와 다쿠보쿠
이시카와 다쿠보쿠는 이와테현 출신의 일본 시인이자 소설가로, 빈곤과 질병 속에서도 활발한 창작 활동을 펼쳐 『일각의 모래』와 같은 대표적인 시집을 남겼으며, 그의 작품과 일기는 일본 근대 단가 문학에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고다 로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고다 시게유키 |
다른 이름 | 고다 로한 고다 나리유키 |
인물 정보 | |
출생 | 1867년 7월 23일 |
출생지 | 도쿄 |
사망 | 1947년 7월 30일 (향년 80세) |
사망지 | 도쿄 |
묘소 | 이케가미 혼몬지 |
직업 | 소설가 |
국적 | 일본 |
학력 | 문학박사 (교토제국대학) |
모교 | 체신관료연습소 (전신: 전신수기학교) |
활동 기간 | 1889년 - 1947년 |
사조 | 의고전주의 사실주의 |
가족 | 고다 노부 (여동생) 안도 코우 (여동생) 고다 아야 (딸) 아오키 타마 (손녀) 아오키 나오 (증손녀) |
작품 활동 | |
장르 | 소설 |
주제 | 이상주의 |
주요 작품 | 『노단단』 (1889년) 『풍류불』 (1889년) 『일구검』 (1890년) 『오중탑』 (1892년) 『풍류미진장』 (1893년 - 1895년) 『천우츠나미』 (1905년) 『운명』 (1919년, 사전) |
수상 | |
수상 내역 | 문화훈장 (1937년) 노마문예상 (1943년) |
2. 생애
고다 로한은 1867년 8월 22일(게이오 3년 7월 23일) 에도 시타야 산마이바시정(지금의 도쿄도 다이토구)에서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23] 아버지는 막신이었던 고다 리잔(시게노부)이고 어머니는 유우였다. 고다 집안은 에도 시대 다이묘의 체차를 직업으로 하는 표어방주중이었다.[23] 로한의 아명은 데쓰시로였다.[23] 그는 어려서부터 병약하여 생후 27일 만에 의사의 신세를 지는 등 여러 번 사경을 헤맨 적이 있었다. 이듬해 우에노 전쟁이 일어나 아사쿠사 스와 정으로 옮겨졌다.
시타야에 돌아온 뒤 간다에 정착했다. 시타야 이즈미 길의 세키치요(서예가 세쓰 셋코의 언니)에게서 배웠으며, 오카치 정의 아이다 씨의 학원에서 素読을 배웠다. 1875년(메이지 8년), 치요의 권유로 도쿄 사범 학교 부속 초등학교 (현 쓰쿠바 대학 부속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구사조시, 독본을 애독하게 되었다.
1878년 (메이지 11년), 도쿄부 제일중학교(지금의 도쿄도립 히비야 고등학교) 마사노리과에 입학하여 오자키 고요, 우에다 가즈토시, 가노 고키치 등과 동급생이었다. 이후 가계 사정으로 중퇴하고 14세에 도쿄영학교(현재의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에 진학했지만, 이것도 중퇴하였다. 이후 도쿄 부 도서관에 다니게 되어, 아와시마 간게쓰와도 알게 되었다. 형 나리쓰네의 영향으로 하이쿠와도 가까워졌으며 기쿠치 소켄의 迎羲塾에서 지즈카 레이스이와 함께 한학, 한시를 배웠다.
16세 때 국비생으로 일본 체신성 관립 전신수기학교(훗날의 체신관리연습소)에 들어갔고, 졸업 후 관직인 전신 기사로서 홋카이도 요이치에 부임했다.[24] 현지 게이샤들에게 인기가 있었다고 전해지는데, 쓰보우치 쇼요의 「쇼세쓰 신즈이」나 당세 서생 기질을 접하게 되고 문학의 길에 뜻이 생겼다고 한다. 1887년(메이지 20년) 관직을 포기하고 수도로 돌아왔다.[24] 홋카이도에서 도쿄까지의 과정이 '돌관 기행'의 주제이며 도중에 얻은 하이쿠 里遠し いざ露と寝ん 草枕에서 따서 로한이라는 호를 쓰게 되었다.[25]
면관 처분을 받은 아버지가 시작한 지물포 愛々堂에 근무하는 한편으로 이하라 사이카쿠를 애독했다. 이 무렵부터 《호색오인녀》의 사본을 썼다.[26]
2. 1. 어린 시절과 교육
고다 로한은 1867년 8월 22일(게이오 3년 7월 23일) 에도 시타야 산마이바시정(지금의 도쿄도 다이토구)에서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23] 아버지는 막신이었던 고다 리잔(시게노부)이고 어머니는 유우였다. 고다 집안은 에도 시대 다이묘의 체차를 직업으로 하는 표어방주중이었다.[23] 로한의 아명은 데쓰시로였다.[23] 그는 어려서부터 병약하여 생후 27일 만에 의사의 신세를 지는 등 여러 번 사경을 헤맨 적이 있었다. 이듬해 우에노 전쟁이 일어나 아사쿠사 스와 정으로 옮겨졌다.시타야에 돌아온 뒤 간다에 정착했다. 시타야 이즈미 길의 세키치요(서예가 세쓰 셋코의 언니)에게서 배웠으며, 오카치 정의 아이다 씨의 학원에서 素読을 배웠다. 1875년(메이지 8년), 치요의 권유로 도쿄 사범 학교 부속 초등학교 (현 쓰쿠바 대학 부속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구사조시, 독본을 애독하게 되었다.
1878년 (메이지 11년), 도쿄부 제일중학교(지금의 도쿄도립 히비야 고등학교) 마사노리과에 입학하여 오자키 고요, 우에다 가즈토시, 가노 고키치 등과 동급생이었다. 이후 가계 사정으로 중퇴하고 14세에 도쿄영학교(현재의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에 진학했지만, 이것도 중퇴하였다. 이후 도쿄 부 도서관에 다니게 되어, 아와시마 간게쓰와도 알게 되었다. 형 나리쓰네의 영향으로 하이쿠와도 가까워졌으며 기쿠치 소켄의 迎羲塾에서 지즈카 레이스이와 함께 한학, 한시를 배웠다.
16세 때 국비생으로 일본 체신성 관립 전신수기학교(훗날의 체신관리연습소)에 들어갔고, 졸업 후 관직인 전신 기사로서 홋카이도 요이치에 부임했다.[24] 현지 게이샤들에게 인기가 있었다고 전해지는데, 쓰보우치 쇼요의 「쇼세쓰 신즈이」나 당세 서생 기질을 접하게 되고 문학의 길에 뜻이 생겼다고 한다. 1887년(메이지 20년) 관직을 포기하고 수도로 돌아왔다.[24] 홋카이도에서 도쿄까지의 과정이 '돌관 기행'의 주제이며 도중에 얻은 하이쿠 里遠し いざ露と寝ん 草枕에서 따서 로한이라는 호를 쓰게 되었다.[25]
면관 처분을 받은 아버지가 시작한 지물포 愛々堂에 근무하는 한편으로 이하라 사이카쿠를 애독했다. 이 무렵부터 《호색오인녀》의 사본을 썼다.[26]
2. 2. 전신기사 시절과 문학 입문
고다 로한은 1867년 8월 22일(게이오 3년 7월 23일) 에도에서 막신(幕臣)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23] 아명은 데쓰시로(鉄四郎)였으며,[23] 어려서부터 병약하여 여러 번 사경을 헤맸다.[23] 우에노 전쟁 이후 간다에 정착하여 서예와 소독을 배웠고, 1875년 도쿄 사범 학교 부속 초등학교(현 쓰쿠바 대학 부속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구사조시(草双紙)와 독본을 애독했다.[23]1878년 도쿄부 제일중학교(지금의 도쿄도립 히비야 고등학교)에 입학했으나 가계 사정으로 중퇴하고, 14세에 도쿄영학교(현재의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에 진학했지만 이마저도 중퇴했다.[23] 이후 도쿄 부 도서관에 다니며 아와시마 간게쓰와 교류하고, 형의 영향으로 하이쿠를 접했으며, 한학과 한시를 배웠다.[23]
16세에 국비생으로 체신성 관립 전신수기학교(電信修技学校)에 입학, 졸업 후 홋카이도 요이치정에 전신 기사로 부임했다.[24] 현지에서 쓰보우치 쇼요의 「쇼세쓰 신즈이」와 『당세 서생 기질』을 접하고 문학에 뜻을 두게 되어, 1887년 관직을 포기하고 도쿄로 돌아왔다.[24] 홋카이도에서 도쿄까지의 여정은 '돌관 기행(突貫紀行)'의 소재가 되었으며, 이때 얻은 구절에서 '로한'이라는 호를 사용하게 되었다.[25]
귀경 후, 이하라 사이카쿠를 애독하며[26] 1889년 《이슬 방울》(露団々)을 발표하여 야마다 비묘에게 격찬을 받았다.[27] 이어 「풍류 부처」(1889년), 「오층탑」(1893년) 등을 발표하며 작가로서의 지위를 확립했다.[27]
1894년 장티푸스로 사경을 헤맸으나 이듬해 결혼했다.[27] 이후 '수염 남자'(1896년), 「새로 쓰는 날개옷 이야기」(1897년), "椀久이야기"(1899년 ~ 1900년)를 발표하고, 도시 론인 《일국의 수도》(1899년), 《물의 도쿄》(1901년)도 발표했다.
오자키 고요와 함께 '紅露時代'라는 황금 시대를 맞이하여 '사실주의의 오자키 고요, 이상주의의 고다 로한'으로 불리며 일본 근대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모리 오가이와 함께 '紅露逍鴎時代'로 불리기도 한다.
2. 3. 작가로서의 활동과 황금기
고다 로한은 오자키 고요와 함께 '홍로시대(紅露時代)'라는 황금 시대를 이끌었다.[23] '사실주의의 오자키 고요, 이상주의의 고다 로한'으로 불리며 메이지 일본 문학의 한 시대를 구축했으며, 근대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23] 쓰보우치 쇼요, 모리 오가이와 함께 '홍로소구시대(紅露逍鴎時代)'로 불리기도 한다.로한은 1889년 《이슬 방울》(露団々)을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다.[27] 이 작품은 야마다 비묘의 극찬을 받았고, 이후 《풍류 부처》(風流仏), 《오층탑》(五重塔) 등을 발표하며 작가로서의 지위를 확립했다.[27]
1894년 장티푸스로 사경을 헤맸으나 회복 후 결혼, 《수염 남자》(髭男), 《새로 쓰는 날개옷 이야기》(新羽衣物語), 《椀久이야기》를 발표했다.[24] 또한,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도시론인 《일국의 수도》(一国の首都), 《물의 도쿄》(水の東京)를 발표하여 주목받았다.
1904년 《하늘 치는 파도》(天うつ浪) 집필을 중단한 이후, 로한은 역사 전기 및 고전 평석에 집중했다.[24] 《요리토모》, 《다이라노 마사카도》, 《가모 우지사토》 등의 역사 전기 작품을 남겼으며, 이하라 사이카쿠와 《난소사토미핫켄덴》을 평석하고, 누마나미 게이온, 오타 미즈호 등과 함께 《바쇼 하이쿠 연구》(芭蕉俳句研究)를 저술했다. 1920년부터는 《바쇼 칠부집》(芭蕉七部集) 주석에 착수하여 1947년에 완성했다.
1908년 교토제국대학 초빙으로 국문학 강좌 강사로 부임했으나, 1년 만에 사임했다.[24] 로한은 관료적이고 답답한 대학 분위기에 적응하지 못했고, 아내의 건강 문제도 사임 이유 중 하나였다.[24] 1911년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작품 활동을 잠시 중단했다가, 1919년 《운명》(運命)을 발표하며 문단에 복귀했다. 이후 중국 고전을 바탕으로 한 작품을 다수 발표했다.[24] 도교 연구에도 선구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앙리 마스페로의 저서와 함께 도교 연구의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1937년 제1회 문화 훈장을 수여받았고, 제국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2. 4. 교토제국대학 시절과 문단 복귀
고다 로한은 1887년(메이지 20년) 관직을 포기하고 도쿄로 돌아왔다.[24] 이 홋카이도에서 도쿄까지의 여정이 '돌관 기행(突貫紀行)'의 소재가 되었다. 또한, 도중에 얻은 하이쿠 "里遠し いざ露と寝ん 草枕(마을이 멀다 이슬과 잠자자 풀 베개)"에서 "로한"이라는 호를 얻었다.[25]아버지가 시작한 지물포 아이아이도(愛々堂)에 근무하면서, 이하라 사이카쿠(井原西鶴)를 애독했다. 이 무렵부터 《호색오인녀》의 사본을 썼다.[26] 1889년(메이지 22년), 《이슬 방울》(露団々)의 초고를 썼는데, 이 작품은 아와시마 간게쓰(淡島寒月)를 통해 『도시의 꽃』(都の花)에 발표되었다.[27] 야마다 비묘(山田美妙)의 격찬을 받았고, 「풍류불」(1889년), 시타야구 야나카 덴노지(谷中天王寺)를 무대로 하는 「오층탑」(1893년) 등을 발표하여 작가로서의 지위를 확립했다.
1894년(메이지 27년), 장티푸스에 걸려 죽을 고비를 넘겼고, 이듬해 결혼했다. 이후 몇 년 동안 '수염 남자'(1896년) ,「새로 쓰는 날개옷 이야기」(1897년), "椀久이야기"(1899년 ~ 1900년)를 발표했다. 또한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도시론이었던 《일국의 수도》( 1899 년 ) ,《물의 도쿄》(1901년)도 발표한다.
이 무렵에 같은 세대의 오자키 고요와 함께 '紅露時代'라는 황금 시대를 맞이한다. '사실주의의 오자키 고요, 이상주의의 고다 로한'으로 나란히 칭송되며 메이지 일본 문학의 한 시대를 쌓아 올린 로한은 근대 문학의 발전을 지향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오자키 고요 · 쓰보우치 쇼요 · 모리 오가이과 함께 '紅露逍鴎時代'라는 말도 있다.
1904년(메이지 37년) ,「하늘 치는 파도(天うつ浪)」의 집필을 그만두었다. 이후 로한은 주로 역사적 사건에 대한 전기 작성 및 고전 평석으로 초점을 옮겼다. 역사 전기 작품으로는 《요리토모》, 《다이라노 마사카도》, 《가모 우지사토》 등이 있다. 한편, 이하라 사이카쿠(井原西鶴)나 《난소 사토미 팔견전》을 평석하고, 누마나미 게이온(沼波瓊音), 오타 미즈호(太田水穂) 등 바쇼 연구회 6명과의 공저인 《바쇼 하이쿠 연구》(芭蕉俳句研究)를 펴냈다. 1920년 (다이쇼 9년)에는 《바쇼 칠부집》의 주석을 시작해 17년에 걸쳐 만년인 1947년에 평석을 완성시키고 있다.
1908년(메이지 41년), 교토제국대학 문과 대학 초대 학장인 오랜 친구 가노 고키치(狩野亨吉)의 초청으로 국문학 강좌의 강사가 되었다. 로한의 지도를 받았던 아오키 마사루(青木正児)에 따르면 일본문맥론(일본 문체의 발달사) · 소가 이야기와 와산에 대한 문학론 · 지카마쓰 세와 조루리(近松世話浄瑠璃) 등의 강의 내용으로, 결코 능숙한 화자는 아니었지만 학생의 평판은 아주 좋았다고 한다. 그러나 칠판에 쓰는 문자는 초서로 갈겨 쓰는 데다, 로한 본인이 체격이 탄탄하고 머리가 크다 보니 칠판이 가려서 학생들은 노트 필기를 제대로 하기 어려웠다고 한다. 로한은 학자로서도 충분한 소양이 있었지만, 어떤 사정으로 여름 휴가에서 도쿄로 돌아온 채 1년이 조금 못 되어 (교토에 이주한 것은 그해 초였다) 대학을 그만두고 말았다. 로한 자신은 농담 삼아 "교토에는 산밖에 없어서 낚시를 못해서"라고 말하고 있지만, 관료적이고 빡빡한 대학 분위기에 맞지 않았던 것 같다. 또한 아내 기미(幾美)가 병세가 있었던 이유로 생각된다(기미는 이듬해인 1910년에 세상을 떠났다). 아이러니하게도 대학을 그만두고 이듬해인 1911년 (메이지 44년)에 문학 박사 학위가 수여되었다.
잠시 작품을 발표하지 않았던 시기를 거쳐 《유정기》(幽情記, 1915년에서 1917년의 작품을 정리한 단편집), 《운명》(1919년)을 발표하여 큰 호평을 받고 문단으로 복귀하였다.
2. 5. 말년과 죽음
고다 로한은 1937년 4월 28일 제1회 문화 훈장을 수여받았으며,[7] 같은 해 일본 제국예술원 회원이 되었다.[28] 1945년에는 나가노현으로 피난을 갔었고, 그후에 시즈오카현으로 이사를 간뒤, 1946년 1월 28일에는 지바현 이치카와시 스가노에 정착하여 살았다.[8] 1947년 (쇼와 22년) 7월 30일, 폐렴으로 협심증이 발병하여[9][28] 지바현 이치카와시 스가노(菅野)에서 만 7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8]장례식은 세 칸 밖에 없는 작은 집에서 조촐하게 이루어졌지만, 가타야마 데쓰(당시 현직 총리)와 아베 요시시게가 참석했고, 중의원과 참의원에서 조사를 보내왔다.[11][29] 묘소는 이케가미 혼몬지에 있으며, 계명은 로한 거사이다. 사후 스미다구 데라지마 정(寺島町)에 있던 로한이 오래 거주했던 민가가 노후화로 철거되면서 그 자리에 공원이 건설되었다. 이 공원은 1963년 4월 24일에 완성되어 '로한 공원'으로 명명되었으며, 현재 '스미다 구립 로한 아동 놀이터'로 남아 있다.[12][30]
3. 가족 및 친족
고다 로한은 고다 시게노부와 유우 부부의 넷째 아들로, 맏형 시게쓰네(成常)는 사업가, 둘째 형 나리타다(成忠)는 해군 군인이자 탐험가, 남동생 나리토모(成友)는 역사학자였다.[31] 형 나리타다는 군지 가에 양자로 들어갔다.[31] 여동생 노부(延)와 고우(幸)는 각각 피아니스트와 바이올리니스트였다.[31] 고우의 자녀 중에는 작가 다카기 다쿠가 있다.[13]
고다 집안은 법화종을 믿었으나, 아버지 시게노부가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가족들도 기독교인이 되었다. 하지만 로한은 개종을 거부하여 가족 중 유일하게 기독교 신자가 아니었다.[31]
로한은 29세에 야마무로 기미(山室幾美)와 결혼하여 장녀 우타(歌), 차녀 아야(文), 장남 시게토요(成豊)를 두었다.[31][32] 기미는 1910년 인플루엔자로, 장녀 우타는 1912년에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32] 같은 해 로한은 기독교인 고다마 야요(児玉八代)와 재혼했다.[32] 장남 시게토요는 1926년 폐결핵으로 사망했다.[33] 야요는 1933년부터 로한과 별거에 들어갔고 1945년에 사망했다.[23]
차녀 아야는 아버지 로한에 대한 수필로 주목받아 작가가 되었다.[34] 아야의 외동딸 아오키 타마와 손녀 아오키 나오 역시 수필가로 활동하고 있다.
4. 사상 및 평가
미래학자로서의 면모도 가지고 있었으며, 1911년에 발표된 《해학 손으로 쓴 미래 일기》(滑稽御手製未来記)에서는 무선 통신, 에스컬레이터, 모노레일, 전기 자동차 등이 기록되어 있었다.[35][36] 1897년부터 10년 동안 로한이 살았던 무코지마 가규안(向島蝸牛庵, 도쿄 부 남쪽 가쓰시카 군 데라지마 마을)은 박물관 메이지무라에 이전 보존되어 있으며, 일본의 등록 유형 문화재(건조물)이다.[16][17]
로한은 바둑, 장기 외에도 낚시[18], 요리, 사진 등 다양한 취미를 가지고 있었다. 장기의 경우, 12대 명인 오노 고헤이, 13대 명인 세키네 긴지로, 14대 명인 기무라 요시오에게 사사했으며, 더 나아가 장기사 연구에도 힘써 잡지 『태양』에 "장기 잡고", "장기 잡화"와 같은 논문을 기고하고 있다. 1916년 오노 명인으로부터 초단, 1917년 이노우에 요시오 8단으로부터 2단, 1922년 세키네 명인으로부터 4단의 면장을 수여받았다(모두 아마추어 단위). 또한 1957년, 로한의 10주기에는 일본 장기 연맹으로부터 6단이 추증되었다.[19]
4. 1. 도교 연구
고다 로한은 미래학자로서의 일면도 가지고 있었는데, 1911년에 발표된 『골계 어테이세이 미래기』에서는 무선 송전, 무빙워크, 모노레일, 전기 자동차 등이 기록되어 있었다. 1897년(메이지 30년)부터 약 10년간 살았던 "고우규안"은 박물관 메이지무라에 이전 보존되어 있으며, 등록 유형 문화재(건조물)이다.[16][17]로한은 바둑, 장기 외에도 낚시[18], 요리, 사진 등 다양한 취미를 가지고 있었다. 장기의 경우, 12대 명인 오노 고헤이, 13대 명인 세키네 긴지로, 14대 명인 기무라 요시오에게 사사했으며, 더 나아가 장기사 연구에도 힘써 잡지 『태양』에 "장기 잡고", "장기 잡화"와 같은 논문을 기고하고 있다. 1916년 오노 명인으로부터 초단, 1917년 이노우에 요시오 8단으로부터 2단, 1922년 세키네 명인으로부터 4단의 면장을 수여받았다(모두 아마추어 단위). 또한 1957년, 로한의 10주기에는 일본 장기 연맹으로부터 6단이 추증되었다.[19]
4. 2. 미래학적 면모
고다 로한은 미래학자로서의 면모도 가지고 있었으며, 1911년에 발표된 《해학 손으로 쓴 미래 일기》(滑稽御手製未来記)에서는 무선 통신, 에스컬레이터, 모노레일, 전기 자동차 등이 기록되어 있었다.[16][17] 1897년부터 10년 동안 로한이 살았던 무코지마 가규안(向島蝸牛庵, 도쿄 부 남쪽 가쓰시카 군 데라지마 마을)은 박물관 메이지무라에 이전 보존되어 있으며, 일본의 등록 유형 문화재(건조물)이다.[35][36]5. 주요 작품
『'''로한 전집》(露伴全集)'''은 생전에 로한의 제자인 우루시야마 마타시로를 중심으로 편찬되었다. 로한 사후 시오타니 산 등에 의해 두 차례에 걸쳐 전집(이와나미 서점, 제2차 버전(전 44권)은 증보권을 추가하여 1978년부터 80년에 걸쳐 간행)이 편찬되었다.
; 소설
- [https://dl.ndl.go.jp/pid/887336 노단단](露団々)(1889년, 킨코도)
- 풍류불(風流仏)(1889년 9월 "[https://dl.ndl.go.jp/search/searchResult?accessRestrictions=internet&accessRestrictions=ooc&accessRestrictions=inlibrary&collection=A00001&collection=A00002&collection=A00022&collection=A00003&collection=A00014&collection=A00015&collection=A00017&collection=A00016&collection=A00019&collection=A00121&collection=A00024&collection=A00152&collection=A00150&collection=A00173&collection=A00122&collection=A00162&collection=B00000&fullText=true&title=%E6%96%B0%E8%91%97%E7%99%BE%E7%A8%AE&publisher=%E5%90%89%E5%B2%A1%E6%9B%B8%E7%B1%8D%E5%BA%97&eraType=AD&identifierItem=ISBN&includeVolumeNum=true&pageNum=0&pageSize=50&sortKey=ISSUED_ASC&displayMode=list 신저 백종] 제5호". 1889년 요시오카 서적점)
- * [https://dl.ndl.go.jp/pid/13082674 신저 백종 제5호] (1982년 교육출판센터)
- [https://dl.ndl.go.jp/pid/888595 눈이 흩날리다](雪紛々)(1889년 11월 - 12월, 요미우리 신문에 연재. 1901년, 슌요도)
- [https://dl.ndl.go.jp/search/searchResult?accessRestrictions=internet&accessRestrictions=ooc&accessRestrictions=inlibrary&collection=A00001&collection=A00002&collection=A00022&collection=A00003&collection=A00014&collection=A00015&collection=A00017&collection=A00016&collection=A00019&collection=A00121&collection=A00024&collection=A00152&collection=A00150&collection=A00173&collection=A00122&collection=A00162&collection=B00000&keyword=%E7%B8%81%E5%A4%96%E7%B8%81&fullText=true&title=%E6%97%A5%E6%9C%AC%E4%B9%8B%E6%96%87%E8%8F%AF&eraType=AD&identifierItem=ISBN&includeVolumeNum=true&pageNum=0&pageSize=50&sortKey=ISSUED_ASC&displayMode=list 연외연](縁外縁)(1890년 1월, "일본의 문화"에 게재. 6월 "[https://dl.ndl.go.jp/pid/888707/1/2 해골과 대면하다](対髑髏)"로 개제하여 단편집 『잎 끝 모음』에 수록)
- 이사나토리(1891년 [https://dl.ndl.go.jp/pid/885386 전편], 1892년 [https://dl.ndl.go.jp/pid/885387 후편], 아오키 산잔도)
- 오층탑 (1892년, 아오키 산잔도 『[https://dl.ndl.go.jp/pid/885679 소설 억새 모음]』 수록)
- 풍류 미진장(風流微塵蔵) (1893년 - 1895년 "국회"에 연재. 미완. 제1권 1895년 12월 간행, 제2권 1896년 2월 간행, 제3권 4월 간행, 제4권 8월 간행)
- [https://dl.ndl.go.jp/pid/887895 수염 남자](ひげ男) (1896년, 하쿠분칸)
- [https://dl.ndl.go.jp/pid/886894 새로운 날개옷 이야기](新羽衣物語) (1897년 8월, 무라이 형제 상회) - 담배 신제품의 경품으로 공판되었다.
- 하늘을 치는 파도(天うつ浪) (1903년 1월 - 05년 1월, 슌요도) (미완)
- 골계 수제 미래기 (『[https://dl.ndl.go.jp/pid/1785366/1/15 실업소년]』 1911년, 하쿠분칸)
- 눈싸움 (『일본 평론』1939년 / 1941년 『[https://dl.ndl.go.jp/pid/1884592/1/29 환담]』 수록)
- 연환기 (『일본 평론』1941년 4월-7월 / 1941년 『[https://dl.ndl.go.jp/pid/1884592/1/95 환담]』 수록)
; 사전
- 니노미야 손토쿠 옹 (1891년, 하쿠분칸)
- 요리토모 (1908년, 토아도)
- 운명 (1919년, 잡지 『개조』 4월 창간호)
- : 명의 건문제가 영락제에게 쫓겨 수십 년 동안 잠복하여 생활했다는 전설에 대해 쓰여진 이야기, 그 외에도 중국을 무대로 한 문어체 작품이 다수 있다.
- 가모 우지사토
- 다이라노 마사카도
; 수필·평론

- 일국의 수도 (1899년 - 1901년, 잡지 『신소설』)
- 물의 도쿄 (1901년, 잡지 『문예 구락부』)
- 물을 기다리는 풀 (1906년, 토아도)
- 달팽이집 야담 (1907년 11월, 슌요도)
- : "유선굴"을 수록
- 소품 10종 (1908년 6월, 성공 잡지사)
- 보통 문장론 (1908년 10월, 하쿠분칸) - "문장은 즐겁게 써야 한다" 등 초학자를 위한 문장 지침.
- 노력론 (1912년, 토아도)
- 변경도 보존도 (1921년, 국본사)
; 하이카이 평석
- 겨울의 일기초 (1924년 9월, 이와나미 쇼텐)
- 봄날・광야초 (1927년 6월, 이와나미 쇼텐)
- 히사고・원미초 (1929년 12월, 이와나미 쇼텐)
- 숯 짚・속 원미초 (1930년 1월, 이와나미 쇼텐)
- 평석 바쇼 7부집 (1947년 완성). 이와나미 쇼텐 7권조, 복각 1983년, 1993년
; 기행·일기
- 베개머리 산수 (1893년 9월, 하쿠분칸)
- 달팽이집 일기 (1949년 8월, 주오코론사)
; 희곡
- 나와 나가나
; 교가
- 도쿄도립 스미다강 고등학교 교가
5. 1. 소설
『'''로한 전집》(露伴全集)'''은 생전에 로한의 제자인 우루시야마 마타시로를 중심으로 편찬되었다. 로한 사후 시오타니 산 등에 의해 두 차례에 걸쳐 전집(이와나미 서점, 제2차 버전(전 44권)은 증보권을 추가하여 1978년부터 80년에 걸쳐 간행)이 편찬되었다.고다 로한의 소설 작품은 다음과 같다.
- 이슬 방울(1889년, 金港堂)
- 풍류 부처(風流仏, ふうりゅうぶつ) (1889년 9월 '신저 백종'. 1889 년 요시오카 서적점)
- 연외연(縁外縁, 1890년 1월 '일본의 문화'에 게재. 6월 대촉루(対髑髏, たいどくろ)로 제목을 바꾸어 단편집 '엽말집葉末集'에 수록하였다.
- 이사나토리(いさなとり, 1891년 전편 1892년 후편, 아오키 산잔도)
- 오층탑(1892 년 아오키嵩山堂"소설 오바 나 집」수록)
- 풍류미진장(風流微塵蔵, ふうりゅうみじんぞう) - (1893년 - 1895년 "국회"에 연재. 미완성. 제1권 1895 년 12월간, 제2권 1896년 2월간, 제3권 4월간, 제4권 8 월간)
- 수염 남자(ひげ男, 1896년, 하쿠분칸)
- 신 날개옷 이야기(新羽衣物語, 1897년 8월 무라이 요시베에) - 담배 신제품의 경품으로 발간되었다.
- 天うつ浪 (1903년 1월 ~ 2005년 1월 슌요도) (미완)
- 골계어수제미래기(滑稽御手製未来記, 1911년)
- 눈 때리기(雪たたき, 1939년 '일본 평론')
- 연환기(連環記, 1941년 8월 「환상 이야기」에 수록. '일본 평론' 1941년 4월 ~ 7월)
5. 2. 역사 전기
《'''로한 전집》(露伴全集)'''은 로한의 제자 우루시야마 마타시로(漆山又四郎)를 중심으로 편찬되었다. 로한 사후 시오타니 산(塩谷賛) 등에 의해 두 차례에 걸쳐 전집(이와나미 서점, 제2차 버전(전 44권)은 증보권을 추가하여 1978년부터 80년에 걸쳐 간행)이 편찬되었다.로한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 소설
- 《이슬 방울》(1889년)
- 《풍류 부처》(1889년)
- 《연외연》(1890년)
- 《이사나토리》(1891년 전편, 1892년 후편)
- 《오층탑》(1892년)
- 《풍류미진장》(1893년 ~ 1895년, 미완)
- 《수염 남자》(1896년)
- 《신 날개옷 이야기》(1897년)
- 《하늘을 치는 파도》(1903년 ~ 1905년, 미완)
- 《골계어수제미래기》(1911년)
- 《눈 때리기》(1939년)
- 《연환기》(1941년)
- 사전(史傳)
- 《니노미야 손토쿠옹》(1891년)
- 《요리토모》(1908년)
- 《운명》(1919년) - 명나라 건문제가 영락제에게 쫓겨난 뒤 수십 년 동안 숨어 살았다는 전설에 대해 쓴 이야기이다.
- 《가모 우지사토》
- 《다이라노 마사카도》
- 수필 · 평론
- 《한 나라의 수도》(1899년 ~ 1901년)
- 《물의 도쿄》(1901년)
- 《물을 기다리는 풀》(1906년)
- 《가규안 야담》(1907년) - '유선굴' 수록.
- 《소품십종》(1908년)
- 《보통문장론》(1908년) - "문장은 즐겁게 써야 한다" 등 초심자를 위한 문장 안내서이다.
- 《노력론》(1912년)
- 《변경도 보존도》(1921년)
- 하이쿠 평역
- 《겨울 일기 발췌》(1924년)
- 《봄날 · 광야초》(1927년)
- 《히사고 · 원후초》(1929년)
- 《숯표 · 속 원후초》(1930년)
- 《평역 바쇼 칠부집》(1947년 완성)
- 기행 · 일기
- 《침두산수》(1893년)
- 《가규안 일기》(1949년)
- 연극
- 《나와 나가토시》
- 교가
- 도쿄 도립 스미다가와 고등학교 교가
5. 3. 수필 · 평론
고다 로한의 수필과 평론은 그의 문학 세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부분이다.- 한 나라의 수도 (1899년 - 1901년 잡지 '신소설')
- 물의 도쿄(1901년 잡지 '문예클럽')
- 물을 기다리는 풀(潮待ち草)(1906년 동아당東亜堂)
- 가규안 야담(蝸牛庵夜譚, 1907년 11월 춘양당)
- : '유선굴'을 수록하였다.
- 소품십종(小品十種, 1908년 6월, 성공 잡지사)
- 보통문장론(普通文章論, 1908년 10월 박문관) - "문장은 즐겁게 써야 한다" 등 초심자를 위한 문장 안내서이다.
- 노력론(努力論, 1912년 동아당)
- 변경도 보존도(変更も保存も, 1921년 국본사)
로한은 하이쿠에 대한 평론도 남겼다.
- 겨울 일기 발췌(冬の日記抄, 1924년 9월 이와나미 서점)
- 하루노히・코야쇼/春の日・曠野抄일본어(1927년 6월, 이와나미 서점)
- 히사고・사루미노쇼/ひさご・猿蓑抄일본어(1929년 12월, 이와나미 서점)
- 스미다와라 · 조쿠사루미노쇼/炭俵 · 続猿蓑抄일본어(1930년 1월, 이와 나미 서점)
- 평역 바쇼 칠부집(評釈 芭蕉七部集, 1947년 완성). 이와나미 서점 7권 세트, 복각은 1983년, 1993년에 있었다.
5. 4. 하이쿠 평역
고다 로한은 바쇼의 하이쿠에 대한 평역 작업을 수행했다. 1924년 9월 이와나미 쇼텐에서 《겨울 일기 발췌》(冬の日記抄)를 출간한 것을 시작으로, 1927년 6월에는 《봄날・광야초》(春の日・曠野抄), 1929년 12월에는 《히사고・원미초》(ひさご・猿蓑抄), 1930년 1월에는 《숯 짚・속 원미초》(炭俵 · 続猿蓑抄)를 출간하였다. 로한은 이러한 작업을 통해 바쇼의 하이쿠를 평론하고 해석하는 데 힘썼다. 최종적으로 1947년에 《평석 바쇼 칠부집》(評釈 芭蕉七部集)을 완성하여 이와나미 쇼텐에서 7권 세트로 출간하였으며, 1983년과 1993년에 복각되었다.5. 5. 기타
1897년부터 10년 동안 고다 로한이 살았던 무코지마 가규안(向島蝸牛庵, 도쿄 부 남쪽 가쓰시카 군 데라지마 마을)은 박물관 메이지무라에 이전 보존되어 있으며, 일본의 등록 유형 문화재(건조물)이다.[35][36] 미래학자로서의 일면도 가지고 있어 1911년에 발표 된 《해학 손으로 쓴 미래 일기》(滑稽御手製未来記)에서는 무선 통신, 에스컬레이터, 모노레일, 전기 자동차 등이 적혀 있었다.'''로한 전집''(露伴全集)은 생전에 로한의 제자 우루시야마 마타시로(漆山又四郎)을 중심으로 편찬되었다. 로한 사후 시오타니 산(塩谷賛) 등에 의해 두 차례에 걸쳐 전집(이와나미 서점, 제2차 버전(전 44권)은 증보권을 추가하여 1978년부터 80년에 걸쳐 간행)이 편찬되었다.
고다 로한은 소설, 사전, 수필, 평론, 하이쿠 평역, 기행, 일기, 희곡, 교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남겼다. 소설로는 《이슬 방울》, 《풍류 부처》, 《연외연》, 《이사나토리》, 《오층탑》, 《풍류미진장》, 《수염 남자》, 《신 날개옷 이야기》, 《하늘을 치는 파도》, 《골계어수제미래기》, 《눈 때리기》, 《연환기》 등이 있다. 사전으로는 《니노미야 손토쿠 옹》, 《요리토모》, 《운명》, 《가모 우지사토》, 《다이라노 마사카도》 등이 있다. 수필 및 평론으로는 《한 나라의 수도》, 《물의 도쿄》, 《물을 기다리는 풀》, 《가규안 야담》, 《소품십종》, 《보통문장론》, 《노력론》, 《변경도 보존도》 등이 있다. 하이쿠 평역으로는 《겨울 일기 발췌》, 《봄날・광야초》, 《히사고・원미초》, 《숯 짚・속 원미초》, 《평석 바쇼 칠부집》 등이 있다. 기행 및 일기로는 《침두산수》, 《가규안 일기》가 있으며 희곡으로는 《나와 나가토시》, 교가로는 도쿄 도립 스미다가와 고등학교 교가가 있다.
6. 한국과의 관계
6. 1. 번역된 작품
- 이와나미 문고에서 1927년 초판된 《오층탑》은 1994년에 개정판이 나왔으며, 한국에서는 연암서가에서 2020년 이상경의 번역으로 출간되었다.
- 이와나미 문고에서 출간된 《노력론》은 2001년 개정판, 가도카와 소피아 문고에서 2019년에 출간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이다서점에서 2022년 여선미의 번역으로 《고다 로한의 격차》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 《환담 · 관화담 외 3편》은 이와나미 문고에서 1990년에 출간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연암서가에서 2020년 홍부일의 번역으로 출간되었다.
- 이와나미 문고에서 1991년 출간된 《연환기 외 1편》은 '블랙 리치'가 포함되어 있으며, 한국에서는 연암서가에서 2021년 이상경의 번역으로 《연환기》가 출간되었다.
- 《한 나라의 수도 외 1편》은 이와나미 문고에서 1993년에 출간되었으며, '물의 도쿄'가 포함되어 있다.
- 《시부사와 에이이치 전》은 이와나미 문고에서 2020년에 출간되었으며, 야마다 슌지의 해설이 포함되어 있다.
- 《구름의 그림자 · 가난의 설》은 코단샤 문예 문고에서 1994년에 출간되었다.
- 《운명, 유정기》는 코단샤 문예 문고에서 1997년에 출간되었다.
- 《바쇼 입문》은 코단샤 문예 문고에서 2015년에 출간되었으며, 구판은 신초 문고이다.
- 《가모 우지사토 다케다 신겐 이마가와 요시모토》는 코단샤 문예 문고에서 2016년에 출간되었다.
- 《고다 로한 근대낭만주의자문고6》은 신학사에서 2005년에 출간되었다.
- 《고다 로한 지쿠마 일본문학023》은 지쿠마 서방에서 2008년에 문고판으로 출간되었다.
- 《고다 로한 집 괴담 문호 괴담 걸작선 15》는 히가시 마사오의 편집 및 해설로 지쿠마 문고에서 2010년에 출간되었다.
- 《진찬회 로한의 음식》은 난조 다케노리 편으로 코단샤 문예 문고에서 2019년에 출간되었다.
- 《고다 로한 메이지 문학12》는 坪内祐三 편으로 지쿠마 서방에서 2000년에 출간되었다.
- 《고다 로한 집 신 일본 고전 문학 대계 메이지 편 22》는 이와나미 서점에서 2002년에 출간되었다.
- 《로한 수필집》은 寺田透 편으로 이와나미 문고에서 상, 하권으로 1993년에 출간되었다. 상권은 고증 편, 하권은 언어 편이다.
- 《작가의 자서전 81 고다 로한 소년시대 / 규해수호전》은 登尾豊 편으로 일본도서센터에서 1999년에 출간되었다.
7. 등장 작품
; 영화
:* 동생 (1960년) : 모리 마사유키 출연
:* 동생 (1976년) : 키무라 이사오 출연
:* 제도 이야기 (1988년) : 타카하시 코지 출연
:* 나의 사랑의 악보 타키 렌타로 이야기 (1993년) : 시바타 쿄헤이 출연
:* 1960년 이치카와 곤 감독의 영화 ''그 형''은 고다 아야의 자전적 작품을 각색한 것이다. 따라서 "아버지" 역(모리 마사유키 분)은 고다 로한을 모델로 했다.
:* 고다 로한은 메이지 유신의 다른 많은 역사적 인물들과 함께, 1985년 수상작인 아라마타 히로시의 역사 판타지 소설 ''제도 이야기''의 주인공이다. 이 소설의 첫 영화화에서는 베테랑 배우 다카하시 코지가 연기했다.
; 텔레비전 드라마
:* 동생 (1958년) : 카토 요시 출연
:* 동생 (1981년) : 스즈키 미즈호 출연
:* 동생 (1990년) : 나카죠 시즈오 출연
:* 고이시카와의 집 (1996년) : 모리시게 히사야 출연
:* 야마다 후타로 인형 사건첩 (2001년) : 미노와 유타 출연
:* 고다 가의 사람들 (2002년) : 나카무라 바이쟈쿠 출연
; 연극
:* 아리후쿠 시인 (1964년) : 히라 미키지로 출연
:* 아리후쿠 시인 (1989년) : 나카노 세이야 출연
:* 오페라 타키 렌타로 (1998년) : 후지타 키쿠 출연
; 애니메이션
:* 제도 이야기 (1991년) : 야라 유우사쿠 출연
:* 애니메이션화에서는 야라 유사쿠가 고다 로한의 성우를 맡았다.
7. 1. 영화
고다 로한은 메이지 유신의 다른 많은 역사적 인물들과 함께, 1985년 수상작인 아라마타 히로시의 역사 판타지 소설 ''제도 이야기''의 주인공이다. 이 소설의 첫 영화화에서는 베테랑 배우 다카하시 코지가 연기했다. 애니메이션화에서는 야라 유사쿠가 성우를 맡았다.- 동생(1960년) : 모리 마사유키 출연
- 동생(1976년) : 키무라 이사오 출연
- 제도 이야기(1988년) : 타카하시 코지 출연
- 나의 사랑의 악보 타키 렌타로 이야기(1993년) : 시바타 쿄헤이 출연
1960년 이치카와 곤 감독의 영화 ''그 형''은 고다 아야의 자전적 작품을 각색한 것이다. 따라서 "아버지" 역(모리 마사유키 분)은 고다 로한을 모델로 했다.
7. 2. 텔레비전 드라마
고다 로한은 여러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다뤄졌다. 1958년 드라마 《동생》에서는 카토 요시가, 1981년 드라마 《동생》에서는 스즈키 미즈호가, 1990년 드라마 《동생》에서는 나카죠 시즈오가 고다 로한 역을 연기했다. 1996년 드라마 《고이시카와의 집》에서는 모리시게 히사야가, 2001년 드라마 《야마다 후타로 인형 사건첩》에서는 미노와 유타가, 2002년 드라마 《고다 가의 사람들》에서는 나카무라 바이쟈쿠가 고다 로한을 연기했다.7. 3. 애니메이션
고다 로한은 메이지 유신의 다른 많은 역사적 인물들과 함께, 아라마타 히로시의 역사 판타지 소설 ''제도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애니메이션화에서는 야라 유사쿠가 성우를 맡았다.참조
[1]
서적
蝸牛庵訪問記
[2]
서적
現代人の読書
三一書房
1964
[3]
서적
記憶の中の幸田一族
講談社文庫
2009
[4]
서적
ちくま日本文学023 幸田露伴
[5]
뉴스
窓
日本経済新聞
1951-07-16
[6]
서적
思い出す人々
岩波文庫
[7]
서적
昭和ニュース事典第7巻 昭和14年-昭和16年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94
[8]
서적
幸田文全集 第23巻
岩波書店
[9]
서적
作家の臨終・墓碑事典
東京堂出版
1997
[10]
서적
市川の幸田露伴一家と水木洋子脚色の〈おとうと〉
市川市文学プラザ
2008
[11]
뉴스
寂しい中に首相 露伴翁の葬儀
朝日新聞
1947-08-03
[12]
웹사이트
露伴児童遊園
https://www.jalan.ne[...]
じゃらん
2020-07-20
[13]
서적
きょうだいの日本史
吉川弘文堂
2024
[14]
문서
[15]
간행물
露伴先生記念号
雑誌「藝林閒歩」
1947
[16]
서적
新潮日本文学アルバム 幸田文
新潮社
[17]
웹사이트
明治村幸田露伴住宅蝸牛庵
https://kunishitei.b[...]
[18]
서적
露伴の釣り
1985
[19]
서적
将棋を愛した文豪たち
メディカル・カルチュア社
1994
[20]
서적
幸田露伴
https://dl.ndl.go.jp[...]
中央公論社
1942
[21]
서적
蝸牛庵訪問記
[22]
서적
現代人の読書
三一書房
1964
[23]
서적
記憶の中の幸田一族
講談社文庫
2009
[24]
서적
記憶の中の幸田一族
講談社文庫
2009
[25]
서적
ちくま日本文学023 幸田露伴
[26]
뉴스
窓
日本経済新聞
1951-07-16
[27]
서적
思い出す人々
岩波文庫
[28]
서적
作家の臨終・墓碑事典
東京堂出版
1997
[29]
뉴스
寂しい中に首相 露伴翁の葬儀
朝日新聞
1947-08-03
[30]
웹사이트
露伴児童遊園
https://www.jalan.ne[...]
じゃらん
2020-07-20
[31]
서적
記憶の中の幸田一族
講談社文庫
2009
[32]
서적
記憶の中の幸田一族
講談社文庫
2009
[33]
문서
[34]
간행물
露伴先生記念号
雑誌「藝林閒歩」
1947
[35]
서적
新潮日本文学アルバム 幸田文
新潮社
[36]
웹인용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 「明治村幸田露伴住宅蝸牛庵」
https://web.archive.[...]
2021-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